메뉴 건너뛰기

국립부경대학교 총동창회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LUMNI ASSOCI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lumni Association 부경! 세계로 향한 날개!

커뮤니티

Community

서브메뉴

서브 퀵메뉴

모교소식

국립부경대, 국내 유일 ‘해양미세조류은행’ 재운영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79회 작성일 25-03-20 16:12

본문

국립부경대, 국내 유일 해양미세조류은행재운영한다

- ‘해양식물 플랑크톤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10년 만에 이전 운영

 

국립부경대학교(총장 배상훈)가 국내 유일 해양미세조류은행10년 만에 재운영하며 해양바이오산업 지원 기관으로서 입지 다지기에 나섰다.

 

국립부경대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으로부터 해양식물 플랑크톤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기관장 신현호 교수)’을 이전, 3월부터 본격 운영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

 

기탁등록보존기관은 해양수산부가 우리나라 해양생물자원 주권 확보를 위해 우수 연구기관을 지정하고 지원하는 사업이다.

 

해양식물 플랑크톤은 탄수화물, 지방질, 단백질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로 구성돼 있고, 이산화탄소 고정 및 수질정화 능력도 있어 환경문제 해결, 바이오연료와 의약품 소재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귀중한 생명 자원이다.

 

국립부경대는 해양식물 플랑크톤자원 기타등록보존기관의 전신인 해양미세조류은행1995년부터 2015년까지 운영하며 연간 200회가량 국내외 연구기관, 산업체, 교육기관에 분양하는 등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원과 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에 이바지한 바 있다.

 

이후 운영 책임자의 은퇴로 해양 연구 전문 기관인 KIOST에 이전됐다가, 미세조류 분야 전문가인 신현호 교수가 지난해 국립부경대 양식응용생명과학전공에 신규 임용되면서 이전 작업을 추진해 이번에 재운영할 수 있게 됐다.

 

해양식물 플랑크톤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은 특수 배양실과 분석장비들을 갖추고 국립부경대 한미르관 7층에 조성됐다. 현재 500여 종(1,900여 개 배양주)의 해양식물 플랑크톤을 보유하고 있다.

 

신현호 교수는 현재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서 운영하는 자원검색분양시스템(MBRIS)과 연계한 자원 검색시스템도 구축해 보안 검사를 거쳐 4월에 공개할 예정이다. 국내 연구자들이 쉽게 해양식물 플랑크톤자원을 제공 받아 연구하고, 관련 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신현호 교수는 해양식물 플랑크톤 분류, 생리, 생태, 활용 연구의 전문가로 지난 10년간 SCI 논문을 50편 이상 출판했다. 특히, 우리나라 해역에서 발견된 식물플랑크톤 신종에 우리나라 지명(제주도, 거문도, 통영, 군산 등)을 인용, 종명을 확정해 국내외 학계에 우리나라의 지역을 알리는 데 이바지하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해양생명자원유공 해수부장관상을 받았다.

 

붙임: 해양식물 플랑크톤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배양실 사진 / 신현호 교수 사진


c9329b9199f3ded7c137c0e5972c813f_1742454724_206.jpg


c9329b9199f3ded7c137c0e5972c813f_1742454724_6747.jpg


c9329b9199f3ded7c137c0e5972c813f_1742454724_8244.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협약처-부경대총동창회 회원카드 협약처-은성의료재단 협약처-누네빛안과 협약처-온종합병원 협약처-시민장례식장(본점) 협약처-부산백병원장례식장(지점) 협약처-해운대백병원장례식장(지점) 협약처-부산센텀병원 협약처-서부산센텀병원 협약처-부산미주치과병원
협약처-부산성소병원 협약처-남포고운피부과의원 협약처-삼성메디컬치과 협약처-라인업치과의원 협약처-더팻텔 협약처-강동병원 협약처-정근안과병원 협약처-이샘병원 협약처-엔노블 협약처-더조은의원
협약처-KMI한국의학연구소 협약처-와이투어앤골프 협약처-해운대씨클라우드호텔 협약처-늘곁애라이프온 협약처-해운대플레아드블랑호텔 협약처-잇다렌탈(흐름온) 협약처-신제주유람선 협약처-더존한방병원 협약처-서울메디컬 협약처-플란치과병원